디스콰이엇 스토리
사이드프로젝트에서 시드투자 받기까지 6개월동안 디스콰이엇을 개발하면서 배운 10가지 - 1편
June 25, 2021
디스콰이엇 스토리
June 25, 2021
사이드프로젝트로 시작한 디스콰이엇이 4월에 시드투자 텀싯을 받고 지난달 마무리를 하였습니다. 이 글은 그 과정에서 배운 것에 대한 회고입니다.
성공한 창업가들 중 사이드프로젝트로 시작했다는 경우가 많습니다. 디스콰이엇을 하면서 사이드프로젝트가 왜 좋은 사업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지 배우게 되었어요.
사이드프로젝트를 할때는 시장의 기회를 발견해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정말 순수하게 특정 주제에 흥미가 있어서 프로젝트를 하게 되는 것 같아요.[1] 즉 내적 동기가 외적 동기보다 더 강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 거죠. 내적 동기가 강한 상태에서 일하면 몇가지 장점이 있어요.
디스콰이엇도 저와 제연님의 순수한 흥미에서 시작한 프로젝트예요. 그렇다 보니 서로 아이디어 빌딩도 잘되고 서로 상대방이 도움이 필요한 것 같으면 적극적으로 도와주게 되는 것 같아요.
제연님과 같이 프로젝트를 하기로 결정했을때 저는 디자인과 홍보를 담당하고 제연님께서 기획과 개발을 담당하기로 했어요. 그러다 사이트 개발 단계에 들어서면서 개발 리소스가 부족했어요. 그래서 제가 리액트의 기본적인 부분을 1주일 정도 걸쳐 배워서 도울 수 있는 부분을 도왔어요. 반대로 제가 글을 적으면서 문법, 맞춤법 등 꼼꼼함이 부족해 놓치는 부분이 많은데 제가 도움을 요청하지 않아도 제연님이 이런부분을 적극적으로 수정해주신다던지 제가 디자인을 하면서 놓친 것이 있으면 제연님이 리서치를 해서 UX를 제안해주실때도 많아요. 이 두가지 예시 이외에도 서로 지탱해주는 부분이 많아요.
반대로 순수한 흥미가 아닌 사업을 한다는 생각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욕심을 내게 되고 이는 압박감으로 이어져요. 마라톤을 하는데 너무 몸에 힘이 들어간 상태에서 계속 뛰는 거죠. 프로덕트를 개발할때는 생각대로 될때보다 되지 않을때가 훨씬 많은데 이런 상황을 계속 몸에 힘이 너무 들어간 상태에서 마주하다보면 금방 지치게 되는 것 같아요.
또한 대부분의 중요한 문제는 정말 오래 붙들고 고민해야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최소한 1년 넘게 고민을 하고 다양한 실험을 해봐야 된다고 생각해요. 수개월 해보고 금방 포기하게 된다거나 다른 아이템을 한다는 것은 그 문제를 해결하고자하는 것에 진정성이 없다는 신호일 수 있어요.
Notes
[1] "One of the best ways to discover startup ideas is to work on a project just for fun." - Paul Graham
MVP(Minimum-Viable-Product)에 대해서 정의가 정말 다양한 것 같아요. MVP가 프로덕트 개발에서 정말 중요하긴한데 어느 순간 많은 메이커들이 MVP라는 것의 정의가 무엇인지 그리고 적합한 형태가 무엇인지에 대해 너무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마치 영어의 본질은 의사소통인데 문법에만 너무 치중하는 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해요. MVP단계에서는 시각적인 것이 중요한지, 개발 없이 화면만 만든 프로토타입이어야 되는지, 아니면 직접 발로 뛰어야 되는지 등 적합한 형태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이는 잘못되었어요.
MVP의 구체적인 정의나 형태와 상관 없이 프로덕트 개발에서 중요한건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는 프로덕트를 개발하는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라 생각해요. 그럴려면 최소한의 시간을 써서 최대한 신뢰도가 높은 데이터를 얻어야 되요. MVP를 통해 매니징해야될 리스크는 크게 5가지가 있어요.
특히 첫 3개는 본격적으로 개발 리소스를 투입하기전 검증해보지 않으면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는 프로덕트를 개발하는데 시간을 쓰게 될 확률이 높아져요. 이를 인지하고 디스콰이엇도 처음에 니즈, 사용자 획득, UX에 대한 검증을 최소한의 시간을 써서 최대한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얻고자 했어요.
어떤 사람들이 위와 같은 니즈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그 사람들을 확보할 수 있는지 검증해야 됐어요.
UX는 프로덕트헌트(https://producthunt.com/) 같이 주기적으로 새로운 프로덕트가 소개되고 사이트 방문자들은 마음에 드는 프로덕트가 있으면 투표를 할 수 있게 하고자 했어요.
MVP 만드는데 1주, 테스트하는데 1주해서 총 2주 안에 위의 내용들에 대해 최대한 신뢰도가 높은 데이터를 얻어내자는 목표를 세웠어요. 그래서 1주일동안 웹플로우라는 노코드툴로 프로덕트헌트와 같이 주기적으로 새로운 프로덕트를 소개해주면서 사이트 방문자가 마음에 드는 프로덕트가 있으면 투표를 할 수 있는 사이트를 구현했어요.
구현한 사이트를 페이스북과 단톡방에 있는 IT 커뮤니티에 뿌린다음 사람들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바이럴은 나는지, 회원 가입 후 투표 기능을 사용하는지 관찰했어요.
이런 활동을 통해 디스콰이엇에 개발 리소스를 투입해도 될 것 같다는 데이터를 얻었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같이 개발해줄 제연님을 만나 3달 동안 개발한 후 런칭을 하고 VC, 엔젤투자자 분들께 먼저 연락도 받을 수도 있었어요.
MVP 테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노코드로 2주만에 DISQUIET* 아이디어 검증하기" 글에서 더 보실 수 있어요~!
디스콰이엇을 처음 시작할때부터 프로덕트 개발 여정을 기록하고 이를 디스콰이엇 페이스북 그룹, 단톡방, 이메일 뉴스레터의 채널을 통해 커뮤니티 멤버분들께 공유했어요. 이를 통해 다음 3가지를 기대했어요.
디스콰이엇 전에 스타트업에서 일해보기도 하고 창업을 해보기도 했는데 프로덕트 개발 과정에서 문득 생각나는 아이디어들, 수많은 고민들, 배운 점들을 기록하지 않아 팀원들과 했던 이야기들을 반복하게 되거나 초점이 흐려져 방황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어요. 그래서 이번에는 시간이 들더라도 꼭 기록을 해가면서 프로덕트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사업을 하다보면 생각대로 잘되는 날보다 안되는 날이 더 많은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스타트업에서 일해보면서 느낀건 서로 하나의 비전에 공감해서 뭉친 팀이 아니면 생각대로 안되는 날에 너무 힘들더라고요. 그래서 이번에는 비전에 공감하는 팀원을 찾기 위해서 저의 생각, 실행한 점, 그리고 배운 점을 최대한 세세히 기록해서 사람들에게 공유하면 비전에 공감하는 팀원을 찾을 확률이 높아지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어요.
제가 동경하는 회사와 메이커들의 공통점은 그들이 만든 프로덕트가 어떻게해서 세상에 나오게 되었는지 그 스토리를 알고 있다는 점이였어요. 저도 단순히 실용성이 높아 사람들이 사용하는 프로덕트가 아니라 제가 만들고자 하는 프로덕트에 감정적으로 공감을 해주는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그 커뮤니티 사람들과 같이 프로덕트를 만들어가고 싶다는 생각을 했어요.
그리고 예상치 못한 효과도 있었어요.
디스콰이엇은 MVP 단계때부터 VC, 엔젤투자자분들, 그리고 협업을 생각하시는 분들께 연락이 왔어요. 그래서 많은 조언을 얻을 수 있었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어떤 점들을 보는지 알 수 있었어요.
제가 처음으로 적은 "노코드로 2주만에 디스콰이엇 아이디어 검증하기"글은 공유한 주에 1,129번의 페이지 방문이 있었고 전체 기간동안 3,905번의 페이지 방문이 있었어요. 이 글을 통해 사람들에게 디스콰이엇이 많이 알려졌어요.
투자자를 소개시켜주시는 분들도 생겼고 사무실에 빈자리가 있는데 와서 사용하라고 제안을 해주시는 분도 있었어요. 스티비의 임호열 대표님께 연락이와 스티비를 무료제공을 제안해주셨어요.
2편 - 제품 개발 계속 읽으러 가기